본문 바로가기
자연 현상

여름의 흠뻑쇼 : 장마

by WoongMaja~ 2023. 6. 12.

1. 장마란?

 

 장마는 아시아 대륙의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는 기후 현상입니다. 장마는 여름철 동안 특정 지역에 비가 지속적으로 내리는 현상으로, 대기 중의 습기와 난기류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지속적인 비가 내리는 장마철

 

2. 장마철의 기후적 특징과 영향

 

 1) 강수량 : 장마철은 비가 지속적으로 내리는 시기로, 대기 중의 습기와 난기류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강수량이 증가합니다. 연속적이고 강한 비가 일어나며, 때로는 폭우와 강한 천둥번개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2) 습도 : 장마철은 습도기 높은 시기로, 해양으로부터 상승한 습기가 육지로 공급됩니다. 다습한 기후로 인해 불쾌감이 높아지고, 땅과 식물에 대한 수분 공급이 증가합니다.

 

 3) 온도 : 장마철은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발생하며, 고온 다습한 날씨가 지속됩니다. 열대 지역에서는 일교차가 적게 나타나기도합니다.

 

 4) 자외선 : 장마철은 구름이 많아 나외선 노출이 감소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부 지역에서는 장마철이 자외선의 노출을 줄일 수 있어서 일시적으로 피부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3. 장마전선의 형성 과정

 

 1) 남쪽으로 이동하는 공기 유입 : 장마철에는 해양으로 부터 습기를 공급하는 공기 유입이 발생합니다.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는 바람에 의해 공기가 공급됩니다.

 

 2) 불안정한 대기 조건 : 장마철에는 지역의 대기가 불안정한 상태로 변화합니다. 태양열로 가열된 지면에서 상승하는 공기와 고층 대기의 차이로 인해 대기가 불안정해지고, 수증기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3) 전선 형성 : 남쪽으로 유입된 습한 공기와 북쪽으로부터 내려오는 상대적으로 건조한 공기가 충돌하면서 전선이 형성됩니다. 이 전선은 습한 공기와 건조한 공기의 경계를 나타내며, 구름 형성과 비를 내리게 합니다.

 

 4) 대류운동 : 전선을 따라 상승한 습한 공기는 냉각되고, 공기의 수분이 응결되어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강한 비, 천둥번개, 강한 바람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5) 지속적인 비 : 장마전선이 형성되면서 지속적인 비가 발생합니다. 전선 위에서는 비구름이 계속해서 형성되어 강수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4. 장마의 피해

 

 1) 홍수 : 장마는 대량의 강우로 인해 지역적인 홍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강한 비가 긴 시간동안 계속되면 하천이나 하수도 시스템이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고, 이로 인해 주거지나 농경지 등 저지대에 있는 지역이 침수되고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토사 유출 : 강한 장마는 토양의 흙과 모래를 일으켜 유출시킬 수 있습니다. 토사유출은 토지의 침식과 절벽 붕괴를 초래할 수 있으며, 주택과 도로 등의 구조물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산사태 : 장마는 산지와 같은 경사진 지형에서 산사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강한 비가 토양을 포화시키고, 지형의 안정성을 약화시키면서 산사태가 발생합니다. 이는 주변 지역에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교통 문제 : 장마로 인해 도로와 교통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강한 비와 침수로 인해 도로가 물에 잠기거나 붕괴되어 통행이 어려워지고, 교통 혼잡과 사고 발생률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5) 농작물 피해 : 비가 지속되면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침수로 인해 농작물이 죽거나 부패할 수 있으며, 농작물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6) 질병 전파 : 습한 환경은 질병의 전파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장마로 인해 벌레나 모기 등의 해충이 번식하고, 물에 오염된 경우에는 수질 관련 질병이 퍼질 수 있습니다.

 

 

5. 장마의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

 

 1) 홍수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는 효과적인 홍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합니다. 하천의 범람을 막고, 하수도 시설의 효율을 향상시켜 침수된 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2) 경사진 지형에서 토사유출 위험이 있는 경우, 지형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적절한 보강 및 방호 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또한 산림의 보호와 복원을 통해 토양의 침식을 줄이고, 산사태 예방을 위한 조치를 해야합니다.

 

 3) 도로의 침수 및 붕괴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시기에 도로 유지 보수를 실시해야 합니다. 방수 구조물 설치, 하수 시설정비, 침수 가능한 구간의 경관 조정등을 통해 도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4)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농경지 관리를 해야합니다. 농경지의 침수 대책을 마련하고, 물 관리 및 배수 시스템을 개선해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 농작물의 배치 간격을 조정하여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5) 장마 시즌에는 비상 대피 계획을 마련하여 재난 상황에 대비합니다. 대피 시설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재해 상황에서의 대피 경로와 안전한 장소를 정하며, 주민들에게 적절한 안전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댓글